02-1 기본 자료형
1. 문자열 자료형
1) 문자열 만들기
자바스크립트에서는 문자가 하나든 여러 개든 모두 문자열 자료형이라고 한다.
>'Hello World'
"Hello World" --> 콘솔 출력이 큰따옴표로 감싸져 있으면 문자열을 의미
>"Hello World"
"Hello World"
ㄴ문자열 만드는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큰따옴표를 사용하는 방법과 작은따옴표를 사용하는 방법이다.
>"This is \"string\""
"This is "string""
>'This is \'string\''
"This is 'string'"
ㄴ따옴표를 문자 그대로 사용하고 싶다면 이스케이프 문자(\)를 사용하여 따옴표를 문자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.
>'동해물과 백두산이\n마르고 닳도록'
"동해물과 백두산이
마르고 닳도록"
>'이름\t나이\t지역'
"이름 나이 지역"
>"\\ \\ \\ \\"
"\ \ \ \"
ㄴ또 다른 기능을 하는 이스케이프 문자가 존재한다.
- \n: 줄바꿈
- \t: 탭
- \\: \ 그자체를 의미
2) 문자열 연산자
>"Hello" + "World"
"HelloWorld"
ㄴ문자열 연결 연산자(+)를 사용하면 문자열을 연결할 수 있다.
>"Hello"[0]
"H"
>"Hello"[2]
"l"
ㄴ 문자열 뒤에 []안에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인 인덱스를 입력하면 해당 위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.
3) 문자열 길이 구하기
>"안녕하세요".length
5
>"hello world".length
11
>"".length
0
ㄴ 문자열의 length 속성을 사용하면 문자열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.
2. 숫자 자료형
>273
273
>52.273
52.273
ㄴ자바스크립트는 소수점이 있는 숫자와 없는 숫자 모두 같은 자료형으로 인식한다.
연산자 | 설명 |
+ | 더하기 연산자 |
- | 빼기 연산자 |
* | 곱하기 연산자 |
/ | 나누기 연산자 |
% | 나누기 |
> 5+3*2
11
> (5+3)*2
16
> 16/5
3.2
> parseInt(16/5) --> parseInt는 정수로 변환시켜준다. 따라서 몫을 구할 때 사용할 수 있다.
3
> 16%5
1
3. 불 자료형
1) 불 만들기
불 자료형은 ture, false 두 가지이다.
두 대상을 비교할 수 있는 비교 연산자를 이용하여 불을 만들 수 있다.
연산자 | 설명 |
=== | 양쪽이 같다 |
!== | 양쪽이 다르다 |
> | 왼쪽이 더 크다 |
< | 오른쪽이 더 크다 |
>= | 왼쪽이 더 크거나 같다 |
<= | 오른쪽이 더 크거나 같다 |
> 52 > 273
false
>'가방' > '하마'
false
2) 불 부정 연산자
> !true
false
> !false
true
ㄴ 논리 부정 연산자 ! 기호를 사용하면 참을 거짓으로 거짓을 참으로 바꾼다.
3) 불 논리합/ 논리곱 연산자
연산자 | 설명 |
&& | 논리곱 연산자 |
|| | 논리합 연산자 |
&& 연산자 | || 연산자 | |||||
좌변 | 우변 | 결과 | 좌변 | 우변 | 결과 | |
true | true | true | true | true | true | |
true | false | false | true | false | true | |
false | true | false | false | true | true | |
false | false | false | false | false | false |
4. 자료형 검사
> typeof('hello world')
"string"
> typeof(273)
"number"
>typeof(true)
"boolean"
>typeof 10 === 'number'
True
5. 좀 더 알아보기
1) 템플릿 문자열
>console.log("273+52의 값은' + (273+52) + '입니다!") --> 과거의 표현식 삽입 방법
"273+52의 값은 325입니다!"
>console.log(`273+52의 값은 ${273+52}입니다!`) --> 템플릿 문자열 사용
"273+52의 값은 325입니다!"
ㄴ 템플릿 문자열은 백틱(`) 기호로 감싸고 문자열 내부에 ${}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식을 넣으면 문자열 안에서 계산된다.
2) == / != 연산자와 === / !== 연산자
> 1=='1' --> 어떻게든 변환하면 값이 같아지므로 true
true
> 1==='1' --> 자료형이 다르므로 false
false
> ""==[] --> 빈 문자열은 false, 빈 배열 []도 false로 변환되므로 값이 같고 true
true
> ""===[] --> 자료형이 다르므로 false
false
ㄴ ==와 != 연산자는 '값이 같은지'를 비교하고 ===와 !==는 '값과 자료형이 같은지'를 비교한다.
'혼공스보면서 혼공스(JS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4. 반복문- 배열 (0) | 2021.07.08 |
---|---|
CH3. 조건문- switch 조건문과 짧은 조건문 (0) | 2021.07.07 |
CH3. 조건문- if 조건문 (0) | 2021.07.07 |
CH2. 자료와 변수- 자료형 변환 (0) | 2021.07.07 |
CH2. 자료와 변수-상수와 변수 (0) | 2021.07.07 |